[세계는 지금 1] 2024년에 주목해야 할 전시업계 5가지 트렌드
- 준걸 김
- 2024년 2월 15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4년 4월 2일
세계 전시업계 리더들의 의견을 수렴한 전망 제시
기후 위기 규제부터 인공지능 등장까지
기사 원 출처 l UFI m+a
전시업계가 지난 1세기 동안 가장 심각했던 팬데믹으로부터 근본적으로 회복하는 데에는 불과 2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하지만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상승과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쟁, 그로 인한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우리 전시업계는 놀라운 회복세를 보이며 성장 모드로 돌아섰다. 팬데믹 기간에 메타버스와 가상 이벤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환상이 깨지면서, 오히려 우리 전시업계와 핵심 비즈니스 모델에 기꺼이 돈을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모든 것이 놀라운 상황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전시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출처 Five trends to watch in 2024
위에서 언급한 대로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면서 우리 전시업계의 전망은 매우 밝아졌다. 이는 우리 산업과 비즈니스 모델의 힘을 보여주는 분명한 대목이기도 하다. 전시란 사람들이 직접 모이고 교류하는 장을 기획하며 운영하는 사업이다. 그 단순한 모델의 가치가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사람들이 직접 만날 수 있는 마켓 플레이스와 만남의 장소를 구축하고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운영을 지속해야 한다.
이를 위해 ‘UFI(국제전시협회 , The Global Association of the Exhibition Industry, 이하 UFI)’ 팀은 매년 전 세계 회원 및 업계 리더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대화를 지속해왔다. 올해 역시 2024년도 전망에 대해서 논의하고 그 이야기들을 수렴하는 자리를 가졌다. 논의 결과, 앞으로 12~18개월 동안 전시업계에 어떤 담론이 형성될 것인지에 대한 다섯 가지 견해를 소개하고자 한다.
하나, 변화하는 고객에 집중! 또 집중!
먼저 UFI가 진행한 모든 대화와 설문 조사 결과, 우리 산업은 고객의 구체적인 니즈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었다. 모든 비즈니스에서 당연히 중요한 일인 만큼, 바로 이 점에서 고객의 기대와 요구가 전례없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전시장의 실시간 데이터부터 DEI(다양성, 형평성 그리고 포용성, Diversity, Equity, Inclusion) 정책, 탄소 예산, 매치메이킹, 가격 구조, 연중 활성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포함된다. 2024년에는 많은 점에서 새로울 수많은 젊은 인재들이 우리 산업에 합류해 다른 산업의 기술을 변화하는 업계에 적용하는 모습을 보고 배우며 채택하게 될 것이다.

둘, 기후 위기 규제의 필요성
2023년, 지구는 인류가 출현한 이래 가장 무더운 해를 경험했다. 지구 표면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더 높은 것이 부분적으로 추적되었다. 극단적인 기상 조건으로 인해 행사는 더 자주 취소되고 연기될 것이다. 이는 여행과 행사 참석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런 현상에 대비하고자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이 도입되었다. 탄소 배출 목표 달성을 위한 투자에 우선순위를 두는 기업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탄소중립 이벤트 이니셔티브(Initiative)’는 참고할 수 있는 모범 사례와 진화하는 산업표준을 제공한다. 그러나 우리 산업이 바로 이 매우 실제적인 위협에 대응하는 방식을 통제하려면 ‘가장 쉽게 달성할 수 있는 목표(low-hanging fruit)’를 넘어서 속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전시업계 5가지 트렌드
➊ 변화하는 고객에 집중
➋ 기후 위기 규제
➌ 업계의 판도를 바꿀 인공지능(AI)
➍ 전시업계 정체성 강화
➎ 업계 통합/다양한 플레이어 구성
셋, 업계의 판도를 바꿀 인공지능(AI)의 등장
2007년 1월 9일, 최초로 출시된 아이폰은 우리를 포함한 많은 산업에 분수령이 되었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증가하게 되면서 전 세계 전시장에서 고객을 조직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도 크게 변화했다.
그로부터 15년 후인 2022년 11월 30일, 현재 생성형 인공지능(GenAI)의 가장 잘 알려진 사례인 Chat GPT가 공개적으로 출시되었다. 최소한 아이폰 출시와 비슷한 영향을 준, 유의미한 날로 볼 수 있을 듯하다. 이를 둘러싼 초기의 열광 이후, 2024년에는 기업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산업 발전을 매우 빠르게 시작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 전시산업 역시 마찬가지다.

넷, 전시업계의 정체성 강화 필요
최근 우리 전시업계는 눈부신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미디어나 이해관계자 커뮤니티에서 이를 주목하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다. 하나의 통합된 산업으로서 목소리를 내기 위해 여전히 우리는 고군분투한다.
하지만 우리 업계의 이야기를 전 세계에 전하고자 할 때 종종 ‘불협화음’이 나곤 한다. 이는 다양한 이벤트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여전히 문제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서사(Narratives)에 발맞춰 업계 스스로 조정하는 데 있어 진전이 있었다. 이벤트 산업 이슈, 인재 확보 및 규제 관련 옹호 노력은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업계에 대한 인식과 자리매김 역시 지역별로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조금씩 성공을 거두는 중이다. 2024년에는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 업계 통합 및 다양한 플레이어로 재구성
전시산업은 여전히 다양한 주체로 구성된 폭넓은 생태계를 가진 산업이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 주최자·베뉴 운영자 및 공급업체 간 업계 통합은 계속되고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규모가 큰 기업은 증가하는 전시산업의 글로벌 복합성에 대해 더 잘 대처할 수 있다. 동시에, 새롭게 출범하여 빠르게 성장하는 신생 기업들은 작고 민첩하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다. 각자의 주력 분야에서 빠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슈] 글로벌 전시산업의 경제적 효과Ⅰ](https://static.wixstatic.com/media/59f0ed_f0f1d3dc20af46249c379954ff718b46~mv2.png/v1/fill/w_980,h_651,al_c,q_9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59f0ed_f0f1d3dc20af46249c379954ff718b46~mv2.png)
![[전시 통계] 글로벌 전시산업 2024년의 성적표, 숫자로 확인한 회복과 성장](https://static.wixstatic.com/media/59f0ed_6af3f2c6affd41a68a04b90687da2c6e~mv2.png/v1/fill/w_980,h_501,al_c,q_9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59f0ed_6af3f2c6affd41a68a04b90687da2c6e~mv2.png)
![[세계는 지금] 세계 전시업계 이모저모](https://static.wixstatic.com/media/59f0ed_5b6340376309459f96b37fa36941ac15~mv2.jpg/v1/fill/w_600,h_400,al_c,q_80,enc_avif,quality_auto/59f0ed_5b6340376309459f96b37fa36941ac15~mv2.jpg)
댓글